굿홈즈-신축빌라분양

주거 건물, 어떻게 나뉘나요? 좋은 집 고르는 방법!

묵혼지주 2024. 11. 27. 09:01
728x90

우리가 거주하는 주거 건물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다가구 주택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임대차 계약서에도 기본적으로 표시돼 있지만, 과연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지 알고 계신가요? 국내에서 구분하고 있는 주거 건물의 유형을 비롯해, 다양한 주거 건물 중 좋은 집을 고르는 방법! 지금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 집은 어떤 건물일까? 다양한 주거 건물의 유형

일반적으로 주택이란, 한 가구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와 그 부속 토지를 의미하는데요. 주택법에서는 이와 같은 주택 유형을 크게 단독 주택과 공동 주택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주택 유형
구분 기준
단독 주택
(소유권자 1인)
단독 주택
- 1가구 거주
다가구 주택
- 2~19가구 거주 가능
19세 이하가 거주 가능
(층수) 3층 이하, (면적) 660㎡ 이하

다중주택
-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 가능
- 독립된 주거 형태가 아닐 것
호실별 취사 시설 설치 금지
(층수) 3층 이하, (면적) 660㎡ 이하
공동 주택
(소유권자 1인 이상)
아파트
(층수) 5층 이상
연립주택
(층수) 4층 이하, (면적) 660 초과
다세대 주택
(층수) 4층 이하, (면적) 660이하
기숙사
- 학생 혹은 종업원을 위한 곳
- 1개 동의 공동 취사 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 이상인 주택

먼저, 단독 주택에는 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건축된 일반 단독주택과 분양이나 구분소유가 안 되는 다가구 주택, 다중주택이 있고요.

공동 주택으로는 벽 복도 계단이나 그 밖의 성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 건물로써,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독 주택, 다중주택과 다가구 주택의 차이

소유권자가 단 1명인 단독 주택은 다가구 주택과 다중주택 모두 3층 이하의 건물로, 1개 동의 주택 바닥 면적의 합계가 660제곱미터여야 하는데요. 다중주택은 호실별 욕실 설치는 가능하나, 취사 시설은 설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다가구 주택과 차이점을 가집니다.

공동 주택,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의 차이

공동 주택에서 면적 기준 적용 없이, 5층 이상인 주택은 아파트로 규정하고 있고요. 4층 이하의 건물은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으로 구분됩니다. 이때,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 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면 연립주택, 넘기지 않으면 다세대주택으로 보는데요.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이나 종업원을 위해 쓰이는 건물은 기숙사로 구분하고요.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이것만 알아두자! 좋은 집 고르는 방법

이처럼, 여러 가지의 주거 건물 중에서도 나에게 딱 맞는 집을 찾기 위해, 많은 분이 고민하며 알아보실 텐데요. 집에 대한 취향은 사람마다 달라지겠지만, 좋은 집에 대한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사실!

첫째, 지형 살펴보기

남향이 트이고 북서쪽에 산이나 숲이 있으며 완만한 경사를 이룬 집이라면, 일조권 및 통풍 상의 유리함이 있어 쾌적성도 좋고요. 주택 가격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되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으로 봐야 할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둘째, 교통 여건과 도로 상태 확인하기

직장과 자녀들의 통학 거리도 알맞아야 할 텐데요. 쇼핑센터나 각종 시설의 이용을 위한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접근성이 양호해야 합니다. 주요 도로와의 연계성과 보행자 도로의 구분, 배치, 해당 지역의 규모나 인구 등을 감안해 살펴보시는 것이 좋고요.

셋째, 주변 공해, 혐오시설 등의 배치

집 주변에 가스 저장소, 쓰레기장, 오물처리장 등의 혐오시설이나 각종 공장 등 공해시설 등이 있다면, 가격 형성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넷째, 공공시설 여부

필요한 공공시설이 주변에 있는지도 반드시 파악해 두셔야 하는데요. 교육 및 의료시설, 기타 문화시설, 스포츠센터, 백화점 등 공공시설이 주변에 어느 정도 정비되어 있는지 꼼꼼하게 살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주거 건물의 특징과 함께, 좋은 집을 고르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소개해 드린 내용을 참고해, 모두가 안락한 주거 공간을 찾으시는 데 도움을 얻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관련 컨텐츠

알고 보면 쓸모있는 주택 정보 모음 Zip

https://blog.naver.com/mltmkr/223646589810?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주거지역에도 종류가 있다? 주거지역 종류와 차이점을 한눈에!

https://blog.naver.com/mltmkr/223103317870?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 참고

한국주택금융공사_좋은 집 고르기의 4가지 기준

https://m.blog.naver.com/kidarikhfc/222056349062